Post

CSS 튜토리얼)Part2. CSS 기본문법 - 색상

안녕하세요, 여러분!

Part2. 색상 기초입니다 CSS 에 다양한 색상 표시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이름으로 지정


📍색상 이름으로 지정하기:

CSS에서는 140개 이상의 사전 정의된 색상 이름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red, blue, green과 같은 일반적인 색상뿐만 아니라 salmon, steelblue, lavender와 같이 더 특정한 색상 이름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예시
1
2
3
4
5
6
7
p {
    color: blue;  /* 텍스트 색상을 파란색으로 설정 */
}

div {
    background-color: lightgrey;  /* 배경색을 연한 회색으로 설정 */
}


색상 이름의 장점

장점설명
직관성색상 이름은 읽고 이해하기 쉽습니다. 코드를 더 간결하고 접근하기 쉬운 형태로 만듭니다.
접근성사람이 읽을 수 있는 이름을 사용하기 때문에, 색상 코드나 RGB 값보다는 편리하고 쉽게 색상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빠른 적용색상 코드를 기억하거나 찾는 시간 없이, 일반적인 이름을 사용하여 빠르게 스타일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 주의할 점!

주의할 점설명
브라우저 호환성모든 브라우저가 모든 색상 이름을 지원하는 것은 아닙니다. 드문 색상 이름이나 특이한 이름은 일부 브라우저에서 지원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색상 정확성색상 이름으로 지정할 때는 정확한 색상 표현에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디자인에서 색상의 정확성이 중요한 경우, RGB, HEX, HSL 등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HEX 코드:

EX 코드는 색상을 지정하는 데 사용되는 육각수(16진수) 형태의 표현 방법입니다.
HEX 코드는 주로 웹 디자인에서 색상을 정확하고 일관되게 표현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HEX 코드의 구조:

HEX 코드는 보통 # 기호로 시작하고, 그 뒤에는 6자리의 숫자와 문자(A-F)의 조합이 옵니다. 이 6자리는 RGB(빨강, 초록, 파랑) 색상 값을 각각 두 자리씩 나타냅니다

예시

1
2
3
4
5
- #000000은 검은색을 나타냅니다 (빨강 0%, 초록 0%, 파랑 0%).
- #FFFFFF은 흰색을 나타냅니다 (빨강 100%, 초록 100%, 파랑 100%).
- #FF0000은 순수한 빨간색을 나타냅니다 (빨강 100%, 초록 0%, 파랑 0%).
- #00FF00은 순수한 초록색을 나타냅니다.
- #0000FF은 순수한 파란색을 나타냅니다.


HEX 코드 사용의 장점

장점설명
정확성HEX 코드는 색상을 매우 정확하게 지정할 수 있어, 디자인과 개발 과정에서 색상의 혼동을 줄일 수 있습니다.
간편함색상 선택 도구에서 쉽게 복사하고 붙여넣을 수 있으며, 코드가 짧아 사용이 편리합니다.
범용성모든 현대 브라우저와 웹 기술에서 널리 지원되고 호환되므로, 웹 디자인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됩니다.



📍RGB:

RGB는 색상을 지정하는 방법 중 하나로, ‘Red’, ‘Green’, ‘Blue’의 첫 글자를 따서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RGB 방식은 이 세 가지 기본 색상의 강도를 조합하여 광범위한 색상을 만들어냅니다. 각 색상은 0부터 255 사이의 값으로 표현되며, 이 값들은 해당 색상의 강도를 나타냅니다.


RGB의 기본 구조:

1
rgb(red, green, blue)
  • 여기서 red, green, blue는 각각 빨강, 초록, 파란 색상의 강도를 0에서 255 사이의 숫자로 지정합니다.


예시:

1
2
3
4
5
rgb(255, 0, 0)은 순수한 빨간색을 나타냅니다.
rgb(0, 255, 0)은 순수한 초록색을 나타냅니다.
rgb(0, 0, 255)은 순수한 파란색을 나타냅니다.
rgb(255, 255, 255)은 흰색을 나타냅니다.
rgb(0, 0, 0)은 검은색을 나타냅니다.


‘RGB’ 사용의 장점

장점설명
직관적인 색상 조정RGB는 색상의 각 구성 요소(빨강, 초록, 파랑)를 직접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색을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광범위한 색상RGB 모델은 매우 다양한 색상을 생성할 수 있어, 웹 페이지 디자인에 필요한 거의 모든 색상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웹 표준과 호환성RGB는 모든 주요 웹 브라우저에서 지원되며, 웹 표준의 일부로 널리 사용됩니다.


⚠️ 주의할 점!

주의할 점설명
색상 재현의 차이모니터의 색상 재현 방식에 따라 실제 색상과 다소 차이가 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색상 매칭이 중요한 경우 색상 캘리브레이션을 고려해야 합니다.
고해상도 디스플레이에서의 차이고해상도 디스플레이에서는 RGB 값이 예상과 다르게 보일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 색상 프로파일을 조정하거나 다른 색상 지정 방법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RGBA:

GBA는 RGB 색상 모델에 알파 채널을 추가한 형식으로, 색상의 불투명도를 제어할 수 있게 합니다.
여기서 ‘RGBA’는 ‘Red’, ‘Green’, ‘Blue’, ‘Alpha’를 의미합니다. RGBA는 웹 페이지 디자인에서 색상과 투명도를 함께 조절해야 할 때 매우 유용합니다.


RGBA의 구조

1
rgba(red, green, blue, alpha)
  • red, green, blue는 각각 빨강, 초록, 파란색의 강도로, 0에서 255 사이의 값입니다.
  • alpha는 색상의 불투명도를 나타내며, 0.0 (완전 투명)에서 1.0 (완전 불투명) 사이의 값을 가집니다.


예시

1
2
rgba(255, 0, 0, 0.5)는 50% 투명도의 빨간색을 나타냅니다.
rgba(0, 0, 255, 0.3)는 70% 투명한 파란색을 나타냅니다.


RGBA 사용의 장점

장점설명
투명도 제어RGBA는 색상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디자인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오버레이, 투명 배경 등의 효과가 가능합니다.
레이어링 효과여러 요소를 겹쳐 표시할 때 각 요소의 투명도를 조절하여 깊이감 있는 시각 효과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디자인 유연성투명도를 조절함으로써 웹 페이지의 색상 조합에 더 많은 유연성을 부여하고, 다양한 배경이나 요소와 조화롭게 디자인을 맞출 수 있습니다.


⚠️ 주의할 점!

주의할 점설명
배경과의 혼합투명도가 포함된 요소는 배경 색상이나 뒤에 위치한 다른 요소들과 혼합될 수 있으므로, 디자인을 구성할 때 이를 고려해야 합니다.
시각적 영향불투명도 설정은 요소의 시각적 표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사용자 경험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도록 신중하게 사용해야 합니다.



📍HSL:

HSL은 색상을 지정하는 또 다른 방식으로, “Hue”, “Saturation”, “Lightness”의 세 가지 구성 요소로 색상을 표현합니다. HSL은 색상 원리를 직관적으로 반영하여, 색상을 보다 쉽게 이해하고 조절할 수 있게 해줍니다.


HSL의 구성 요소

  • Hue (색조): 색상 원에서의 위치를 각도(0~360도)로 표현합니다. 이 각도에 따라 색상이 결정됩니다. 예를 들어, 0도는 빨간색, 120도는 초록색, 240도는 파란색입니다.

  • Saturation (채도): 색상의 강도를 백분율로 표현합니다. 0%는 회색조(무채색), 100%는 가장 밝고 순수한 색상을 나타냅니다.

  • Lightness (명도): 색상의 밝기를 백분율로 표현합니다. 0%는 검은색, 50%는 순수 색상, 100%는 흰색입니다.


예시

1
2
3
4
hsl(0, 100%, 50%) /* 순수한 빨간색 */
hsl(120, 100%, 50%) /* 순수한 초록색 */
hsl(240, 100%, 50%) /* 순수한 파란색 */
hsl(0, 0%, 75%) /* 밝은 회색 */


HSL 사용의 장점

장점설명
직관적인 조절HSL은 색조, 채도, 명도를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색상을 직관적으로 선택하고 조절할 수 있습니다.
색상 조합 용이다양한 색조와 명도를 쉽게 조합하여 조화로운 색상 팔레트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디자인 효율성색상의 밝기와 강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어 디자인 과정에서 시간을 절약하고, 보다 정교한 색상 조정이 가능합니다.


⚠️ 주의할 점!

주의할 점설명
색상 일관성다양한 디스플레이에서 색상이 조금씩 다르게 보일 수 있으므로, 디자인을 최종적으로 확인할 때는 여러 환경에서 테스트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용자 인식채도와 명도가 너무 극단적으로 설정되면 사용자에게 부담을 줄 수 있으므로, 색상을 설정할 때는 사용자 경험도 고려해야 합니다.



📍HSLA:

HSL 색상 모델에 알파 채널을 추가하여 색상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는 확장된 형태입니다.
“HSLA”는 Hue (색조), Saturation (채도), Lightness (명도), 그리고 Alpha (투명도) 의 첫 글자를 따서 만들어진 명칭입니다.
이 방식은 디자인에 더욱 세밀한 컨트롤을 가능하게 하며, 특히 색상의 투명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을 때 유용합니다.


HSLA의 구성 요소

  • Hue (색조): 색상 원에서의 위치를 각도(0~360도)로 표현합니다. 이 각도에 따라 색상이 결정됩니다. 예를 들어, 0도는 빨간색, 120도는 초록색, 240도는 파란색입니다.

  • Saturation (채도): 색상의 강도를 백분율로 표현합니다. 0%는 회색조(무채색), 100%는 가장 밝고 순수한 색상을 나타냅니다.

  • Lightness (명도): 색상의 밝기를 백분율로 표현합니다. 0%는 검은색, 50%는 순수 색상, 100%는 흰색입니다.

  • Alpha (투명도): 색상의 불투명도를 0.0(완전 투명)에서 1.0(완전 불투명) 사이의 값으로 설정합니다.


예시

1
2
hsla(270, 60%, 70%, 0.5) /* 50% 투명도의 옅은 보라색 */
hsla(30, 100%, 50%, 0.75) /* 75% 불투명도의 밝은 오렌지색 */


HSLA 사용의 장점

장점설명
투명도 조절알파 채널을 통해 색상의 투명도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어, 디자인에 깊이와 레이어링 효과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직관적인 색상 선택색조, 채도, 명도를 조절하여 원하는 색상을 직관적으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디자인의 유연성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생성할 수 있어, 디자인에 유연성을 부여합니다.


⚠️ 주의할 점!

주의할 점설명
투명도 관리투명도를 사용할 때는 배경 색상이나 뒤에 있는 요소와의 상호작용을 고려해야 합니다. 너무 많은 투명 요소는 시각적 혼란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브라우저 호환성모든 브라우저가 HSLA를 지원하지만, 오래된 브라우저에서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폴리필이나 대체 스타일을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