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S 튜토리얼)Part2. CSS 기본문법 - CSS 작성하기
안녕하세요, 여러분! 👋
앞에서 part1 CSS 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오늘은 Part2 , CSS 시작하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Part2는 분량이 조금 있기 때문에 나눠서 하나씩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 CSS 작성 방법
- 인라인 스타일
- 내부 스타일 시트
- 외부 스타일 시트
이 4개를 먼저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CSS란?
CSS(Cascading Style Sheets) 는 웹 페이지의 디자인과 레이아웃을 정의하는 스타일 시트 언어입니다.
웹 페이지의 텍스트, 색상, 크기, 간격 등을 조절하여 사이트의 외형을 꾸미는 데 사용됩니다. HTML이 웹 페이지의 구조를 담당한다면, CSS는 그 구조에 ‘옷을 입히는’ 역할을 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웹 개발자는 웹 페이지의 내용과 디자인을 분리하여 관리할 수 있게 됩니다. CSS를 사용하면 다양한 기능을 활용하여 웹페이지를 더욱 풍성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CSS 작성 방법
1. 선택자(Selector)
선택자는 스타일을 적용하고자 하는 HTML 요소를 지정합니다.
여러 형태의 선택자가 있으며, 가장 일반적인 것들은 태그 선택자, 클래스 선택자, ID 선택자입니다.
태그 선택자: 특정 타입의 모든 요소에 스타일을 적용합니다. 예: p, h1, div
클래스 선택자: 특정 클래스가 적용된 모든 요소에 스타일을 적용합니다. 클래스 선택자는 점(.)으로 시작합니다. 예: .menu
ID 선택자: 특정 ID를 가진 단일 요소에 스타일을 적용합니다. - ID 선택자는 해시태그(#)로 시작합니다. 예: #header
2. 선언 블록(Declaration Block)
선택자 뒤에 오는 중괄호({}) 안에 스타일 선언을 작성합니다.
각 선언은 속성과 그 속성의 값을 포함하며, 세미콜론(;)으로 구분합니다.
1
2
3
4
selector {
property: value;
property: value;
}
- 속성(Property): 스타일을 정의하는 키워드입니다. 예: color, font-size, margin
- 값(Value): 속성에 설정될 값입니다. 예: red, 12px, 20px 0 10px 0
3. 스타일 적용 방법
CSS를 HTML 문서에 적용하는 방법은 크게 세 가지입니다:
인라인 스타일: 직접 HTML 요소 내에 style 속성을 사용합니다.
내부 스타일 시트:
<head>
태그 내의<style>
요소를 사용합니다.외부 스타일 시트: 외부 .css 파일을 만들고 HTML 문서에 링크합니다.
예제 외부 스타일 시트 (styles.css):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body {
background-color: lightgrey;
}
h1 {
color: navy;
text-align: center;
}
.menu {
background-color: black;
color: white;
padding: 10px;
}
#header {
background-color: green;
color: yellow;
}
HTML 문서에서 CSS 링크하기:
1
2
3
4
5
6
7
8
9
10
11
<!DOCTYPE html>
<html>
<head>
<link rel="stylesheet" type="text/css" href="styles.css">
</head>
<body>
<div id="header">헤더</div>
<h1>제목입니다</h1>
<p class="menu">메뉴 아이템</p>
</body>
</html>
인라인 스타일
SS 인라인 스타일은 HTML 요소에 직접 스타일 정보를 적용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식은 개별 HTML 요소에만 영향을 미치며, 해당 요소의 style 속성을 통해 스타일 규칙을 직접 작성합니다.
인라인 스타일은 주로 간단한 스타일 변경이 필요할 때 사용되거나, 특정 요소에 대해 매우 구체적인 스타일을 빠르게 적용하고자 할 때 유용합니다.
인라인 스타일 특징
특징 | 설명 |
---|---|
지역성 | 스타일은 오직 해당 HTML 요소에만 적용됩니다. |
우선순위 | 인라인 스타일은 CSS 파일이나 <style> 태그 내의 스타일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가집니다. |
재사용 불가 | 같은 스타일을 다른 요소에 적용하려면 각 요소에 스타일을 반복적으로 작성해야 합니다. |
유지보수의 어려움 | 스타일 변경 시 각 요소를 개별적으로 수정해야 하므로 유지보수가 어렵습니다. |
코드 중복 | 비슷한 스타일을 여러 요소에 적용할 경우 중복 코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가독성 저하 | HTML 문서 내에 스타일 코드가 많아지면 문서의 전반적인 가독성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
인라인 스타일 사용 예
HTML 요소에 직접 스타일을 적용하고 싶을 때, 다음과 같이 style 속성을 사용하여 스타일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1
<p style="color: red; font-size: 16px;">이 텍스트는 빨간색이고, 글자 크기는 16픽셀입니다.</p>
이 예에서 <p>
태그 내의 텍스트는 빨간색으로 표시되며 글자 크기는 16픽셀로 설정됩니다.
이러한 방식은 특정 요소에 빠르고 간단하게 스타일을 적용할 때 효과적이지만, 대규모 사이트나 여러 페이지에 걸쳐 일관된 스타일을 유지해야 하는 경우에는 비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인라인 스타일 장단점
장점 | 단점 |
---|---|
즉각적인 적용 | 유지보수가 어려움 |
특정 요소에 대한 정밀한 제어 | 스타일 정보의 중복 |
다른 스타일 규칙보다 우선순위가 높음 | 코드의 가독성 저하 |
간단한 스타일 변경에 효과적 | CSS의 재사용성과 일관성을 저해 |
HTML 문서 내에서 바로 볼 수 있음 | 대규모 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스타일 일관성 유지 어려움 |
내부 스타일
내부 스타일의 주요 특징
특징 | 설명 |
---|---|
문서 특정 스타일 | 내부 스타일 시트는 한 HTML 문서 내에서만 사용되며, 해당 문서에 특화된 스타일을 제공합니다. |
중앙 집중적 관리 | 문서 내의 스타일을 한 곳에서 관리할 수 있어 스타일 변경과 유지보수가 용이합니다. |
로딩 시간 | 외부 스타일 시트 파일을 로드하지 않으므로, 약간의 로딩 시간 절약이 가능합니다. |
<style> 태그 사용 | <style> 태그를 <head> 섹션 안에 넣어 CSS 코드를 작성합니다. |
페이지별 스타일 유지 | 각 HTML 문서에 대해 독립적으로 스타일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
내부 스타일 시트 사용 방법:
<style>
태그 추가: HTML 문서의 <head>
섹션 안에 <style>
태그를 추가합니다.
이 태그 안에 CSS 규칙을 작성합니다.
CSS 규칙 작성: 선택자를 사용하여 스타일을 적용할 요소를 지정하고, 중괄호 {} 안에 스타일 속성과 값을 지정합니다
예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DOCTYPE html>
<html>
<head>
<title>내부 스타일 시트 예제</title>
<style>
body {
background-color: lightblue;
}
h1 {
color: navy;
text-align: center;
}
p {
font-size: 16px;
color: darkred;
}
</style>
</head>
<body>
<h1>환영합니다!</h1>
<p>CSS는 웹 페이지를 아름답게 디자인하는 데 사용됩니다.</p>
</body>
</html>
내부 스타일 장점과 단점
장점 | 단점 |
---|---|
문서 특정 스타일 | HTML 파일 크기 증가 |
중앙 집중적 관리 | 여러 페이지에 대한 스타일 일관성 유지 어려움 |
<style> 태그 내 관리 | 스타일 시트가 많은 규칙을 포함할 경우 문서의 가독성 저하 |
로딩 시간 절약 | 스타일 변경 시 모든 관련 문서를 개별적으로 수정해야 함 |
페이지별 스타일 적용 용이 | 대규모 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에서 효율적 관리 어려움 |
장점 설명:
문서 특정 스타일: 각 HTML 문서에 특화된 스타일을 적용할 수 있어, 페이지별로 다른 스타일을 쉽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중앙 집중적 관리: 한 HTML 문서 내에서 모든 스타일을 관리할 수 있어, 해당 문서에 대한 변경사항을 빠르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style>
태그 내 관리: 스타일 정보를 HTML 문서 내에 포함시켜 외부 리소스 의존도를 줄일 수 있습니다.로딩 시간 절약: 외부 스타일 시트를 로드하는 대신 내부 스타일을 사용하므로 페이지 로딩 시간을 소폭 절약할 수 있습니다.
페이지별 스타일 적용 용이: 독립적인 페이지 스타일링이 필요할 때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점 설명:
- HTML 파일 크기 증가: 스타일 정보가 HTML 문서 내에 포함되어 파일 크기가 커질 수 있습니다.
- 여러 페이지에 대한 스타일 일관성 유지 어려움: 내부 스타일 시트는 각 문서마다 다시 작성해야 하므로, 사이트 전체에 걸친 일관된 스타일을 유지하기 어렵습니다.
- 스타일 시트가 많은 규칙을 포함할 경우 문서의 가독성 저하: 스타일 규칙이 많아질수록 HTML 문서의 가독성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 스타일 변경 시 모든 관련 문서를 개별적으로 수정해야 함: 스타일 변경이 필요할 경우 관련된 모든 HTML 문서를 찾아 개별적으로 수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 대규모 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에서 효율적 관리 어려움: 대규모 프로젝트에서는 외부 스타일 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입니다.
외부 스타일 시트
외부 스타일 시트(External Style Sheet)는 CSS를 별도의 파일에 저장하여 HTML 문서에 링크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식은 웹 페이지의 스타일을 일관되게 관리할 수 있게 해주며, 대규모 웹사이트나 여러 페이지에 걸친 스타일을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외부 스타일의 주요 특징
특징 | 설명 |
---|---|
재사용성 | 하나의 CSS 파일을 여러 HTML 문서에서 사용하여 스타일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
중앙 집중식 관리 | 모든 스타일 변경을 한 곳에서 관리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편리합니다. |
성능 최적화 | CSS 파일을 캐시할 수 있어 사이트의 로딩 속도가 향상될 수 있습니다. |
분리된 구조 | 스타일 코드를 HTML 문서로부터 분리하여 문서의 구조를 더 깔끔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
외부 스타일 시트 사용 방법:
CSS 파일 생성: .css 확장자를 가진 새 파일을 생성하고, 여기에 모든 CSS 코드를 작성합니다. HTML에 CSS 파일 링크: HTML 문서의 <head>
섹션 내에 <link>
태그를 사용하여 CSS 파일을 링크합니다.
예제
CSS 파일 (styles.css) 작성 예제:
body {
background-color: lightblue;
}
h1 {
color: navy;
}
p {
font-size: 16px;
}
HTML 문서에 CSS 파일 링크하기:
1
2
3
4
5
6
7
8
9
10
<!DOCTYPE html>
<html>
<head>
<link rel="stylesheet" type="text/css" href="styles.css">
</head>
<body>
<h1>제목입니다</h1>
<p>CSS는 웹 페이지를 아름답게 디자인하는 데 사용됩니다.</p>
</body>
</html>
외부 스타일 장점과 단점
장점
장점 | 설명 |
---|---|
일관성 유지 | 모든 페이지에서 동일한 스타일 파일을 사용함으로써 사이트 전체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
유지보수 용이성 | 스타일 변경이 필요할 때 하나의 파일만 수정하면 되므로, 사이트 전체의 스타일을 쉽게 관리하고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 |
페이지 로딩 시간 감소 | 스타일 정보가 별도의 파일에 저장되기 때문에, CSS 파일이 캐시될 수 있어 페이지 로딩 시간이 단축됩니다. |
구조와 표현의 분리 | HTML에서 스타일을 분리함으로써, 구조와 디자인을 명확히 구분할 수 있어 웹 개발 및 디자인이 더 체계적으로 이루어집니다. |
단점
단점 | 설명 |
---|---|
다수의 HTTP 요청 | 외부 스타일 시트를 사용하면 각 HTML 문서마다 CSS 파일을 로드하기 위한 추가적인 HTTP 요청이 필요하므로 초기 로딩 시간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의존성 | 외부 파일에 의존하므로, 파일이 손상되거나 접근이 불가능할 경우 웹 페이지의 스타일이 제대로 적용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캐시 이슈 | CSS 파일이 캐시되면 좋지만, 캐시된 파일 때문에 최신 스타일 반영에 지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이렇게
- CSS 작성 방법
- 인라인 스타일
- 내부 스타일 시트
- 외부 스타일 시트
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다음에는 part2 - 2
- 기본 문법
- 선택자
- 속성
- 값
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